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베이비스텝 vs 동결…연준, 기준금리 향배는?

2023-03-22 0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베이비스텝 vs 동결…연준, 기준금리 향배는?<br /><br /><br />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이 우리 시간으로 내일 새벽 기준금리 인상 폭을 결정합니다.<br /><br />연이은 금리 인상 부작용으로 금융시장의 유동성 위기가 닥쳤다는 지적이 나오는 한편, 그간 지속해온 인플레이션 억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의견이 갈리며 시장에서는 이번 FOMC가 역대 가장 난이도가 높은 금리 결정이라고 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연준의 선택이 어떠할지, 관련 내용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전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은행발 위기 사태 속에서 물가를 안정시켜야 하는 딜레마에 처한 미국 연준이 내일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 중소은행들의 파산 우려가 여전하기 때문에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있지만 연준이 금리 인상을 선택할 거란 예상도 나오고 있는데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?<br /><br />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은행 위기를 막기 위해 추가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은행 사태가 안정 국면을 맞을 거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요. 사태가 진정될 경우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번에 발표될 기준금리도 중요하지만 향후 금리에 대한 전망이 담길 점도표에 대한 관심도 큽니다. 지난해 12월 공개됐던 점도표 상 올해 연말 금리 중앙값 5.1%였는데 변화가 있을까요? 5.1%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시장 반응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FOMC 결과는 우리 통화정책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4월 금통위에는 어떤 변수가 될지도 궁금합니다.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경우, 또 베이비스텝을 단행할 경우 각각 시나리오에 따른 파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만약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현재 1.25%P인 한미 금리 차가 1.5%P로 더 벌어지게 되는데 우리 금융과 외환시장에 무리가 되진 않을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 법 관련 '가드레일 조항'의 세부 규정을 발표했습니다. 중국 공장을 가지고 있는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는 일단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어땠기에 이런 평가가 나오는 건가요?<br /><br /> 최악은 피했지만, 기업들의 고민이 100% 해소되진 않은 상태입니다. 수출 통제에 대해 '1년 유예' 조치를 받은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올해 10월까지는 중국 공장에서 첨단 장비를 계속 수입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장비 조달 등이 불투명한 상황이기 때문이죠?<br /><br /> 한국 반도체 업계가 중장기적으로 중국 사업을 철수해야 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오는데 현재 우리 기업의 중국 반도체 생산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요? 사실상 중국 생산을 포기하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 아닌가요?<br /><br /> 상수도 요금이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습니다. 생수 가격은 한 달 새 7% 넘게 상승해 11년여 만에 가장 크게 오르는 등 물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데 왜 이렇게 요금이 오른 건가요?<br /><br />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향후 물가에는 어떤 변수가 될지도 우려됩니다. 그렇지 않아도 팍팍한 서민 경제에 더 부담이 되는 건 아닐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